본 게시글은 대학 전공수업을 들으며 노션에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로 옮긴 것으로, 노션 웹을 통해 최적화된 형태로 읽으시길 권장드립니다.(➡️ 노션 링크)
4강 - 집합론
학습 목표
- 집합과 원소를 구별할 수 있고 원소나열법과 조건제시법으로 집합을 표현할 수 있다.
- 집합의 분할과 멱집합을 구할 수 있다.
- 합집합, 교집합, 차집합, 여집합, 대칭차집합과 같은 집합의 기본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.
- 집합의 다양한 대수법칙의 원리를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.
기본 용어
논리학과 집합론
- 𝒑(𝒙) ∨ 𝒈(𝒙) = 𝑨 ∪ 𝑩
- 𝒑(𝒙) ∧ 𝒈(𝒙) = 𝑨 ∩ 𝑩
집합과 원소
무정의 용어
- 집합(set)과 원소(element)는 정의 없이 사용하는 용어
- 집합의 구성원이 원소, 집합은 그 원소를 포함.(중복x)
- ****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다른 용어로 정의하기 힘든 대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됨
집합론의 창시자 Georg Cantor : “우리의 직관이나 사고로부터 한정적이고 분리된 객체들의 전체 M에서의 수집”
집합의 표시법
𝒂 ∈ 𝑺, 𝒃 ∉ 𝑺
‘S가 하나의 집합, a를 S의 원소라고 하고 / b를 S의 원소가 아니라고 한다’
원소나열법
S = {1, 2, 3}
조건나열법
****S = { 𝒙|𝟎 < 𝒙 < 𝟒 인 자연수}
부분집합(subset)
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이면 ‘A는 B의 부분집합’이라고 하고,
𝑨 ⊆ 𝑩 또는 𝐀 ⊂ 𝑩로 표기한다.
즉, 𝑨 ⊆ 𝑩 ⇔ ∀𝒙 ( 𝒙 ∈ 𝑨 → 𝒙 ∈ 𝑩 ) : 모든 x에 대해서, x가 A에 속해있다면, x는 B에도 속한다.
진부분집합(proper subset)
“𝑨는 𝑩의 진부분집합이다”
⇔ 𝑨 ⊆ 𝑩, 𝑩 ⊆/ 𝑨 : A는 B의 부분집합이지만, B는 A의 부분집합이 아니다.
⇔ 𝑨 ⊆ 𝑩, 𝑨 ≠ 𝑩 : A는 B의 부분집합이며, A와 B는 같지않다.
본문의 설명과 달리, A가 더 큰 집합임에 유의.
상동(equal)
: 𝑨 = 𝑩 ⇔ 𝑨 ⊆ 𝑩 𝒂𝒏𝒅 𝑩 ⊆ 𝑨
A와 B가 같다 = A가 B의 부분집합이면서 B가 A의 부분집합이다.
서로소(disjoint)
교집합이 없다.(공집합)
즉, 집합 A와 B는 서로소(disjoint) ⟺ 𝑨 ∩ 𝑩 = ∅(공집합)
n개의 집합 𝑨𝟏, 𝑨𝟐, ⋯, 𝑨𝒏은 쌍으로 서로소(pairwise disjoint)
⇔ 𝑨𝒊 ∩ 𝑨𝒋 = ∅ ( 𝒊 ≠ 𝒋, 𝟏 ≤ 𝒊, 𝒋 ≤ 𝒏 )
분할(partition)
집합 A를 ∅이 아닌 부분집합들로 나눌 때,
A의 모든 원소들이 각각 나누어진 부분집합들 중 하나에만 포함될 경우
이 부분집합들 전체의 집합을 A의 분할이라고 함.
즉, 부분집합들은 공집합이 아님 + 쌍으로 서로소 + 모든 부분집합의 합집합 전체집합
멱집합
집합 A의 모든 부분집합들의 집합을 A의 멱집합이라고 하고,
P(A)로 표기한다.
- 예제 : 집합 S = {a, b, c}일 때, S의 멱집합 P(S)을 구하시오.
- 멱집합의 원소수 |P(S)| = 2^n이므로, 2^3 = 8
- ( The number of members of a set is often written as |S| )
- P(S) = { {}, {a}, {b}, {c}, {a, b}, {a, c}, {b, c}, {a, b, c} }
집합 연산
- 연산 : 입력으로 수를 받아들이고 출력으로 수를 내어줌
- 집합연산 : 입력으로 집합을 받아들이고 출력으로 집합을 내어줌
https://www.realdigital.org/doc/e127ebfa82dbc904b5c0dac5d1adce8e
합집합(union)
𝑨 ∪ 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∨ 𝒙 ∈ 𝑩}
교집합(intersection)
𝑨 ∩ 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∧ 𝒙 ∈ 𝑩}
차집합(difference)
𝑨 − 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∧ 𝒙 ∉ 𝑩}
여집합(complement, 보집합)
𝑨𝒄 = 𝑼 − 𝑨 = {𝒙 ∈ 𝑼|𝒙 ∉ 𝑨}
대칭차집합
𝑨⨁𝑩 = {𝒙 ∈ 𝑼|𝒙 ∈ 𝑨 ∪ 𝑩 ∧ 𝒙 ∉ 𝑨 ∩ 𝑩}
곱집합(Cartesian product)
𝑼를 전체집합, 𝑨 ⊂ 𝑼, 𝑩 ⊂ 𝑼라 할 때,
𝑨의 원소 𝒂와 𝑩의 원소 𝒃로 만들어지는 순서쌍 (𝒂, 𝒃)들의 집합을
𝑨와 𝑩의 곱집합
𝑨 × 𝑩 ={ (𝒂, 𝒃) | 𝒂 ∈ 𝑨, 𝒃 ∈ 𝑩 }
집합의 대수법칙
크기에 관한 성질
합집합의 크기
|𝑨 ∪ 𝑩| = |𝑨| + |𝑩| − |𝑨 ∩ 𝑩|
합집합의 크기 = 각각 집합의 갯수 - 교집합 갯수
|𝑨 ∪ 𝑩 ∪ 𝑪|
= |𝑨| + |𝑩| + |𝑪| − |𝑨 ∩ 𝑩| − |𝑨 ∩ 𝑪| − |𝑩 ∩ 𝑪| + |𝑨 ∩ 𝑩 ∩ 𝑪|
포함관계 및 항등식
교집합, 합집합, 포함관계의 이행성
모든 집합 A, B, C에 대해서 다음을 만족한다.
- 교집합 : 교집합은 하나의 집합의 부분집합이다.(𝑨 ∩ 𝑩) ⊆ 𝑩
- (𝑨 ∩ 𝑩) ⊆ 𝑨
- 합집합 : 합집합은 부분집합을 가진다.𝑩 ⊆ (𝑨 ∪ 𝑩)
- 𝑨 ⊆ (𝑨 ∪ 𝑩)
- 이행성(Transitivity)만약 𝑨 ⊆ 𝑩이고 𝑩 ⊆ 𝑪이면, 𝑨 ⊆ 𝑪이다.
- 만약 X → Y이고 Y → Z이면 X → Z이다
원소논증
집합 𝑿, 𝒀에 대해 𝑿 ⊆ 𝒀를 증명하고자 할 때
∀𝒙 ∈ 𝑿 → 𝒙 ∈ 𝒀 임을 보인다.
=> 모든 X의 원소는 Y의 원소임을 보이면, X는 Y의 부분집합이다.
집합의 항등식
*논리적으로 한번씩 생각해보고, 논리적 동치 법칙 과 비교해볼 것!
U : 전체집합, A,B,C ⊂ U 라 할 때,
- 교환법칙
- 𝑨 ∪ 𝑩 = 𝑩 ∪ 𝑨 (b) 𝑨 ∩ 𝑩 = 𝑩 ∩ 𝑨
- 결합법칙
- 𝑨 ∩ 𝑩 ∩ 𝑪 = 𝑨 ∩ (𝑩 ∩ 𝑪)
- 𝑨 ∪ 𝑩 ∪ 𝑪 = 𝑨 ∪ 𝑩 ∪ 𝑪
- 분배법칙
- 𝑨 ∩ (𝑩 ∪ 𝑪) = (𝑨 ∩ 𝑩) ∪ (𝑨 ∩ 𝑪)
- 𝑨 ∪ (𝑩 ∩ 𝑪) = (𝑨 ∪ 𝑩) ∩ (𝑨 ∪ 𝑪)
- 항등법칙
- 𝑨 ∩ 𝑼 = 𝑨
- 𝑨 ∪ ∅ = 𝑨
- 보수법칙
- 𝑨 ∪ 𝑨𝒄 = 𝑼 (b) 𝑨 ∩ 𝑨𝒄 = ∅
- 이중보수법칙
- (𝑨𝒄)𝒄 = 𝑨
- 멱등법칙
- 𝑨 ∪ 𝑨 = 𝑨 (b) 𝑨 ∩ 𝑨 = 𝑨
- 전체한계법칙
- 𝑨 ∪ 𝑼 = 𝑼 (b) 𝑨 ∩ ∅ = ∅
- 드모르간의 법칙
- (𝑨 ∩ 𝑩)𝒄= 𝑨𝒄 ∪ 𝑩𝒄
- (𝑨 ∪ 𝑩)𝒄= 𝑨𝒄 ∩ 𝑩𝒄
- 흡수법칙
- 𝑨 ∩ (𝑨 ∪ 𝑩) = 𝑨
- 𝑨 ∪ (𝑨 ∩ 𝑩) = 𝑨
- 𝑼와 ∅의 여집합
- ∅𝒄 = 𝑼
- 𝑼𝒄 = ∅
- 차집합법칙
- 𝑨 − 𝑩 = 𝑨 ∩ 𝑩𝒄
'Computer Science > 이산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산수학] 그래프 : 용어(동형,방향,무향...), 탐색(워크,트레일,경로), 종류(완전,이분,정규), 표현(발생/인접행렬, 인접리스트), 오일러투어, 4색정리, 해밀턴경로 (0) | 2024.06.22 |
---|---|
[이산수학] 부울대수(용어/쌍대성원리/간소화), 논리회로, 논리게이트(AND,OR,NOT,NAND,NOR,XOR...) (0) | 2024.06.22 |
[이산수학] 관계 : 표현법, 성질(반사,대칭,추이), 종류(역,합성,동치) (0) | 2024.06.22 |
[이산수학] 행렬 : 연산(합,차,곱), 가우스 소거법, 행렬 종류(행제형,정방,대각,단위,대칭,삼각,전치,역,부울행렬) (0) | 2024.06.22 |
[이산수학] 증명 : 용어(공리, 정리) 직접 증명법, 귀납법, 간접 증명법(대우,모순,존재,전수) (2) | 2024.06.22 |
[이산수학] 논리와 명제 : 논리기호, 합성명제, (쌍)조건 명제, 한정자, 추론 (0) | 2024.06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