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구사항 명세서(Requirement Specification)

: 고객의 니즈를 담은 문서

출처 : https://mklab-co.medium.com/%EC%9E%91%EC%84%B1%EB%B2%95-%EC%9A%94%EA%B5%AC%EC%82%AC%ED%95%AD-%EB%AA%85%EC%84%B8%EC%84%9C-requirements-specification-ad3533d6d5b8

기능명세서(Functional Specification)

: 각 기능의 기능을 명시

출처: https://mklab-co.medium.com/%EC%9E%91%EC%84%B1%EB%B2%95-%ED%99%94%EB%A9%B4%EC%84%A4%EA%B3%84%EC%84%9C-wireframe-%EC%99%80-%EA%B8%B0%EB%8A%A5%EB%AA%85%EC%84%B8%EC%84%9C-functional-specification-bbcff0071ea2

시스템 구성도(Architecture)

: 어떤 프로그램, 라이브러리, DB등 사용한 개발스택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문서

출처: 내가 진행중인 프로젝트.

유스케이스 시나리오(Use-Case Scenario)

: 유스케이스(use case)는 행위자(actor)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유용한 일을 달성하기 위한 시나리오의 집합을 명시

출처: https://y-oni.tistory.com/50

와이어 프레임(Wireframe)

: 선으로 이루어진 화면 틀.

화면 정의서(화면 설계서/ UI설계서)

:  와이어프레임보다는 좀 구체적인 문서. 개발자에게는 포트폴리오 목적의 프로젝트에는 과한 느낌

플로우차트 - 유저플로우 / 태스크플로우 / 시스템 플로우 등.

https://hello-woody.tistory.com/14 참고.

API명세서

https://velog.io/@xx0hn/Server-API-%EB%AA%85%EC%84%B8%EC%84%9C-%EC%9E%91%EC%84%B1

ERD명세서 + 테이블 정의서(명세서)

https://github.com/danaKim-dokyung/Under_the_Moon

기타 문서

로고

(필요시) 발표자료

버전관리, 브랜치관리

: Git Flow / Github Flow :  https://hellowoori.tistory.com/56 참고. 

https://github.com/nailedReact/bokgungom-market#-%EB%B8%8C%EB%9E%9C%EC%B9%98-%EC%A0%84%EB%9E%B5

컨벤션

: 코드컨벤션, 커밋컨벤션

https://github.com/nailedReact/bokgungom-market#-%EC%BB%A8%EB%B2%A4%EC%85%98